지원금모두보기
 
지원금신청하기
 
유튜브영상보기
 
재테크 / / 2023. 4. 13. 23:51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오는 6월에는 많은 청년들이 기다려온 청년 도약 계정이 출시됩니다.

 

금융위원회는 "6월 말쯤 출시된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시기가 발표되지 않은 만큼 통장 가입을 고민하는 이들의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야 합니다. ​

 

어쨌든 1분기가 끝나고 6월이 다가오면서 정책금융상품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오랜만에 청년들이 계좌를 뛰는 이야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구체적인 혜택을 시작으로 가입조건과 청년희망저축통장 중복가입 여부도 정리할 예정이니 참고해주세요!

 

제품 개요 및 주요 이점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1. 만기기간 : 5년

2. 월 지급 한도: 최대 70만원

3. 주요 혜택 : 소득에 따른 정부출연금 차등지급, 시중은행 금리제공(특정금리 미정, 3년 고정, 변동금리 2년 예상),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4. 만기금액 : 약 5천만원 ​

 

자격을 갖춘 청년이 청년도약통장에 가입해 매달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실제 소득 5천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소득에 대해서도 전액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기 때문에 납부, 정부부담금, 은행이자 등을 전액 받을 수 있습니다. ​

 

다만 가입 요건 충족과는 별개로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출연금이 달라 가입 조건을 채우지 못하는 고소득층은 정부 출연금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정부가 지원하는 기여 한도 및 매칭 비율은 위와 같습니다. ​

 

총연봉 3600만원 이하인 사람은 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매칭비율 4.6%로 월 50만원 이상을 내면 월2.3만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4800만원 이하는 60만원 한도 내에서 3.7% 할인된 금액으로 월 2.2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똑똑한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지만, 기여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을 지불하면 초과분에 대해서만 시중은행 이자 +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청년도약통장은 월 70만원까지 지급할 수 있다…? '청년희망적금 월 50만원이 너무 힘들것 같다..'고 생각하는 분들 분담금 한도까지만 내고 차액은 파킹통장과 단기예금 등을 통해 운용하는 것도 효율적입니다.

 

​ 예를 들어 연봉이 4800만원 미만이면 월 최대 60만원을 지급해 정부 출연금을 최대로 받고 차액인 10만원은 별도로 운영하는 식입니다. ​

 

물론 비과세 혜택도 매력적이기 때문에 "시중은행 금리로 이자소득 면제를 많이 받고 싶어요!"라고 하면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70만원을 넣을 수 있으니 가입 전 5년간 재무상태와 유지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1. 연령: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젊은 사람들

2. 개인 소득: 총급여 7500만원 이하

3.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의 180% 미만 ​

위의 3가지 요건을 충족하면 청년도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만 19세에서 만 21세 사이에 금융소득종합과세자로 분류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연령과 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하더라도 가입이 제한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어쨌든 본론으로 돌아가서 조건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을 드리면 기본 나이가 19~34세인데 2년 동안 군복무를 한 사람은 병역 기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36세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개인소득은 총급여를 기준으로 연간 7,500만원 미만이지만, 6,000만원 이상 7,500만원 이하에 속하는 사람은 정부출연금을 받을 수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가구의 소득 조건

1인 : 3,740,205원

2인 : 6,560,079원

3명 : 7,982,668원

4명 : 9,721,735원

5명 : 11,395,238원

6명 : 13,010,365원 ​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계소득인 2023년 기준 180%의 중위소득은 위와 같습니다. ​

 

제가 개인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 가입 조건 중 개인소득은 7500만원 미만이지만 부모와 떨어져 사는 1인 가구의 180%의 중위소득은 374만원에 불과합니다.

총연봉 4500만~7500만원인 1인 가구가 청년도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는지, 가입할 수 없는지 모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금융위원회가 지난 3월 초 내놓은 운영방향 중간발표와 QA 보도자료를 보면 관련 내용이 없어 이에 대한 답변이 없습니다. 나중에 최종 사업계획이 발표되면 그때 명확한 답변을 주겠죠 ?

 

청년 적금 동시 가입 여부

결론적으로, 그것은 불가능합니다. ​ 청년희망저축통장과 청년도약통장은 청년들의 자산형성이라는 사업목적이 비슷해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다만 같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희망 적금 사업자는 만기가 지나면 순차적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니 '도약통장 가입이 안 된다'는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지금 납부하고 있는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가져가셔서 도약통장에 가입하시면 됩니다.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6월~12월 23일 (가입 신청은 2주마다 예정) ​ 아직 예정돼 있지만 금융위에 따르면 신청 기간은 6월부터 올해 말까지입니다. ​

 

다만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4일 2월 만기가 되기 때문에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기간 내 가입이 불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관심이 급성장하고 있는 청년희망저축 가입기간과 가입조건, 가입 여부를 정리해봤습니다. ​ 매달 70만원씩 5년간 납입하면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5천만원까지 청년들이 모금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됩니다.

 

더 중요한 핵심은 5년 동안 꾸준히 지급할 수 있는 재정 상황입니다. ​ 국가가 별도의 예산을 편성하여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요건을 충족하는 젊은이들은 가입을 고려해도 괜찮을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