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남 재밌지만 아쉽다. 나르코스 때문인가?
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수리남 재밌지만 아쉽다. 나르코스 때문인가?

by 벨루가77 2022. 11. 6.
반응형

수리남의 시작

간단히 말하면 수리남이라는 아프리카에 있는 작은 나라에서 벌어지는 마약상의 이야기다. 

극 중 하정우는 친구로부터 뜻밖의 제안을 받고 수리남으로 사업하러 떠난다. 

수리남이라는 나라에서는 홍어를 먹지 않기 때문에 잡아도 그냥 바다에 버린다는 것이다. 

이 버려지는 홍어를 공짜로 받아 한국에 수출하자는 것이다. 

이 말에 친구를 따라 수리남으로 하정우는 떠난다.

잠시 사업은 승승장구하였으나 뜻밖의 사건으로 마약상으로 오해받고 교도소에 갇힌다. 

이 일은 수리남의 실제 마약 대부인 황정민이 꾸민 일이다.

국정원은 오래전부터 황정민의 마약거래를 포착하고 조사하던 중 하정우의 사건을 알게 되고 하정우에 접근하여 

황정민을 잡을 수 있게 협조해주면 보상을 하겠다고 제안한다. 하정우는 사업으로 손해 본 돈을 만회하기 위해서

국정원에 협조하고 보상을 받을 생각을 한다. 

그리고 국정원제 적극 협조하며 황정민에게 접근하기 시작한다.  

 

너무 잘 훈련된 국민 

하정우는 극중에서 유도를 한 것으로 나오지만, 결국 민간인이다. 

갱들을 보면 겁이나고, 총을 보면 벌벌 떨어야 정상이다. 

하지만 하정우가 주인공이라서 그런지 너무 당차게 해 나간다. 

오히려 잘 훈련받은 사람같다. 태연하게 그럴듯한 거짓말을 하고, 임기응변에 뛰어나며, 때로는 국정원 요원보다 더 전략적이다. 마지막에는 마약상들보다 더 화려한 액션을 보여주며 일망타진한다. 

이야기는 분명히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고 했다. 

어디까지가 실화이과 어디까지가 픽션인지 모르지만, 얼핏 봐도 큰 배경만 실화이고 나머지는 다 허구라는 느낌이 든다. 이 정도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냥 지어낸 영화나 마찬가지다. 

그냥 실화바탕이라는 홍보성 글에 낚시질당한 느낌이다. 

 

너무 어설픈 국정원 그리고 점점 착해지는 황정민 

국정원이 일반 국민같다. 어설프고 그냥 어설프다. 훈련받은 사람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런 성격의 사람이 아니다. 그냥 그렇게 만들었다. 보다 보면 이해가 안 되는 장면들도 많다. 

점점 화가 난다. 민간인 하정우를 띄워줘야 하기 때문에 국정원 요원은 어설퍼야 한다. 

황정민을 잡을 상대는 두 세력이다. 일반 국민인 하정우와 국정원 요원이다. 이러니 하정우를 멋지게 꾸미려면 국정원 요원을 바보같이 만들어야 했다. 사실 이런 방법을 쓰지 않아도 얼마든지 밸런스를 맞출 수 있었을 거 같은데 스토리는 이미 주인공 하정우에게 너무 유리하게 기울어진 운동장을 제공하고 있다. 

황정민은 의심 잘하는 두뇌회전 빠른 마약 조직 두목인거 같지만, 초반에만 이렇다. 

후반으로 갈수록 의심만 많이 했지 똑똑한 행동과 판단을 못 한다. 그냥 의심장이로 끝난다. 

뒤로 갈수록 나약해지고, 마지막의 하정우와의 액션에서는 어이 없이 끝나서 '방금 무슨 일 있었어?' 하는 생각이 들다가 끝난다. 

 

나르코스를 본 사람들이 본다면 ? 

나르코스를 본 사람들이 수리남을 본다면 뭔가 비슷한 구석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실화 바탕이라는 것이다. 

둘째, 합리적 의심을 잘하는 두뇌회전 빠른 마약 조직 두목의 등장이다. 

(황정민은 초반에만 이런 모습이라 많이 아쉽다.)

셋째, 국가에서 함부로 손대지 못한는 대형 마약 조직의 등장이다. 

이 세가지만으로 어떻게 비슷하다고 하느냐고 말할 수 있지만, 나르코스를 본 사람들이라면 하나 같이 말한다. 수리남을 보다 보면 나르코스가 생각난다고 말한다. 어쨌든 나르코스는 드라마 내내 사실에 대한 자료로 도배를 하고 있으며, 실제 작은 에피소드부터 큰 것까지 모두 당시의 신문기사를 토대로 꾸며졌고, 그러한 근거를 드라마 내내 보여 주고 있다. 사실 나르코스를 보면서도 실존 인물인 파블로가 설마 그런 짓을 했을까 하는 의심이 드는데 찾아본 사람들은 알 수 있다. 그에 대한 엽기적인 사건이 차고 넘친다. 실제로 드라마를 만들 때 그의 엽기적인 행위를 많이 필터링했다고 한다. 드라마에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수위의 짓을 많이 했다는 것이다. 엽기적 행위를 많이 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실을 토대로 재밌는 드라마를 만든 감독의 역량에 놀랐다. 나르코스를 보는 순간, 파블로가 사망하는 장면이 나오기까지 드라마를 끌 수가 없었다. 

말 그대로 정주행 하게 된다.  

수리남은 볼 필요 없나? 

아니다. 재미는 있다. 나르코스를 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재미있다. 

다만, 흥미로운 소재를 용두사미 같은 이야기로 만들고 실화 바탕의 장점을 살리지 못해 아쉽다. 

나르코스를 본 사람들은 기대감에서 60%를 줄이고 보길 바란다. 

수리남을 재밌게 보는 팁이다. 

나르코스

 

 

 

반응형